복잡하게 느껴지는 원가 계산, 어렵게만 느껴지시나요?
행복경제연구소의 ‘이코노마스터’가 쉽게 풀어드립니다
이번 글에서는 재공품과 제조원가의 개념부터 두 항목의 상관관계까지,
행복경제연구소의 ‘이코노마스터’가 쉽고 명확하게 설명해드립니다.
제조원가는 제품을 생산하는 데 들어간 실질적인 비용을 의미합니다.
원재료비, 인건비, 공장 전기료, 감가상각비 등 다양한 항목이 포함됩니다.
가장 기본적인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조원가 = 당기 총제조비용 + 기초 재공품 – 기말 재공품
여기서 핵심은 ‘재공품’입니다.
완제품만 비용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재공품의 증감이 제조원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재공품(재공재고)은 아직 생산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의 제품을 말합니다.
원자재는 투입되었지만, 아직 가공이 덜 되어 완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제품이 아닌 ‘재고 자산’으로 처리됩니다.
회계상 재공품은 비용으로 잡히지 않고,
기말까지 완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자산으로 이월됩니다.
아래 표는 재공품의 증감에 따라 제조원가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여줍니다.
사례 A (기말 재공품 감소) | 1,000 | 200 | 100 | 1,100 |
사례 B (기말 재공품 증가) | 1,000 | 200 | 300 | 900 |
해석
회계는 원칙적으로 완성된 제품에 대해서만 비용을 인식합니다.
재공품은 아직 완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비용이 아니라 재고 자산입니다.
따라서, 제조원가는 다음과 같은 흐름으로 계산됩니다.
1) 이번 회계기간 동안 발생한 전체 제조비용2) 이전 기초에 남아 있던 재공품3) 이번 기말까지 완성되지 못한 재공품 (제외)→ 실제 완성된 제품에 대응되는 금액만 제조원가로 반영
제조원가명세서 예시
궁금했던 제조원가와 재공품의 관계,
이제 조금 더 명확하게 이해되셨나요?
앞으로도 다양한 경제·회계 개념을 행복경제연구소에서 쉽게 풀어드리겠습니다.
고문, 잘 써야 본전 (3) | 2025.04.06 |
---|---|
주주총회와 이사회 완전 정리|상법상 절차, 차이점, 결의사항까지 한눈에! (5) | 2025.03.25 |
'의견거절' 회계감사, 무슨 의미일까? (2)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