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주총회와 이사회 완전 정리|상법상 절차, 차이점, 결의사항까지 한눈에!
안녕하세요, 이코노마스터입니다.
최근 회사 실무에서
“주주총회와 이사회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무엇부터 먼저 해야 하나요?”,
“보통결의와 특별결의는 어떻게 구분하나요?”
같은 질문을 자주 받고 있습니다.
이 글은 실제 기업 현장에서 접하는 질문들을 중심으로,
주주총회와 이사회의 정의, 역할, 차이점, 상법상 절차, 그리고
보통결의와 특별결의사항의 구체적 내용까지 정리한 실무 중심 포스팅입니다.
이사회는 회사 경영의 방향을 결정하고 실행을 책임지는 경영진의 회의체입니다.
여러 명의 이사들이 모여 회사 운영의 주요 사항을 의결합니다.
● 이사회 주요 기능
□ 상법 제393조
이사회는 회사의 업무집행에 관한 의사결정을 담당함
주주총회는 주주의 권리 행사 공간이자 회사의 최고 의사결정기구입니다.
회사의 구조적 변화나 주주의 권리에 관련된 중요한 사안을 의결합니다.
● 주주총회 주요 기능
□ 상법 제365조
매 회계연도마다 1회 이상 정기주주총회 개최 의무
주체 | 이사 (경영진) | 주주 (소유자) |
역할 | 회사의 일상 경영 의사결정 | 회사의 구조·지배에 관한 중대한 사항 결정 |
의결사항 | 대표이사 선임, 투자, 사업계획 등 | 정관 변경, 합병, 배당, 해산 등 |
개최주기 | 수시 가능 | 정기 1회, 필요시 임시로 소집 가능 |
정답: 이사회가 먼저입니다.
왜냐하면, 주주총회는 단독으로 열 수 없고
이사회에서 소집 결의를 해야만 주주총회가 열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상법 제362조
주주총회는 이사회의 소집 결의로 이루어져야 함
(회계연도 종료일이 12월 31일인 경우)
1월~2월 초 | 결산 및 재무제표 작성, 감사보고서 작성 | - |
2월 중 | 이사회 개최 → 주주총회 소집 결의 | 제362조 |
총회 2주 전까지 | 주주에게 소집통지 (서면 또는 전자문서) | 제363조 |
총회 1주 전까지 | 의결권 대리행사 시 위임장 발송 | 제368조의3 |
3월 중순 | 정기주주총회 개최 | 제365조 |
보통결의 | 발행주식 총수의 1/4 이상 출석 | 출석 주주의 과반수 찬성 |
특별결의 | 발행주식 총수의 1/3 이상 출석 | 출석 주주의 2/3 이상 찬성 |
주주총회에서 결의하는 사항은 중요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예시:
→ 일반 경영사항이 해당되며, 정기적 안건 대부분은 보통결의로 처리됩니다.
예시:
→ 회사 구조 자체에 영향을 미치는 중대 안건입니다.
보통결의 | 일반 경영 관련 안건 → 출석 1/4 + 찬성 1/2 |
특별결의 | 구조적 변화 관련 안건 → 출석 1/3 + 찬성 2/3 |
주주총회와 이사회 중 무엇이 먼저인가요? | ■ 이사회 → 주주총회 순서입니다. |
주주총회에서 하는 일은? | 회사의 구조, 지배, 주주 권리 관련 의결 |
이사회에서 하는 일은? | 대표이사 선임, 경영 방침, 총회 소집 등 |
총회 개최 절차는? | 이사회 결의 → 소집통지 → 총회 개최 |
결의 종류 구분은? | 보통결의(일반), 특별결의(중대) |
이 콘텐츠가 기업 실무자와 스타트업, 투자자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행복경제연구소는 앞으로도 실무와 밀접한 경제·법률 정보를 지속적으로 전해드릴 예정입니다.
– 이코노마스터 | 행복경제연구소
고문, 잘 써야 본전 (3) | 2025.04.06 |
---|---|
제조원가와 재공품의 관계 (2) | 2025.03.25 |
'의견거절' 회계감사, 무슨 의미일까? (2)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