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미얀마 대지진과 복구, 국제 지원까지 한눈에 정리!

시사경제

by Phd.이코노마스터 2025. 3. 29. 22:33

본문



미얀마 대지진과 복구, 국제 지원까지 한눈에 정리!


by JW행복경제연구소 이코노마스터

며칠 전, 미얀마에서 강진이 발생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미얀마라는 나라에 대한 기본 정보부터 최근 지진 피해, 복구 과정, 국제 지원의 의미와 영향까지 알기 쉽게 정리해보았습니다.

경향신문



---

■ 미얀마는 어떤 나라?

위치: 동남아시아, 인도차이나반도 북서쪽

수도: 네피도(Naypyidaw)

인구: 약 5,500만 명

1인당 국민소득: 약 1,200~1,400달러 (저소득 국가)

주요 산업: 농업, 천연가스, 광물, 의류 수출

관광지: 바간 유적지, 인레 호수, 쉐다곤 파고다 등




---

■ 2025년 3월 28일, 미얀마 강진 발생

지진 규모: 7.7

사망자: 1,000명 이상 (계속 증가 중)

피해 지역: 만달레이, 바간, 네피도 등

특이점: 세계문화유산 바간 사원 다수 붕괴

피해 유형: 주택·도로·공항 등 기반시설 붕괴




---

■ 복구에 드는 시간과 비용

인프라 복구: 수개월~1년

문화유산·도시 경제 회복: 수년 이상 소요

비용 부담: 수억~수십억 달러 예상

관광 수입 및 생산 활동 위축으로 경제 타격 심각



---

■ 국제사회는 왜 미얀마를 돕나?

지정학적 요충지: 중국-인도-아세안 연결

경제·무역적 이해: 인프라 투자 기회

인도주의적 이유: 재난 대응 및 생존권 보장

정치적 목적: 영향력 확보


지원 국가 및 기관

중국: 긴급 구조대 및 현금 지원

러시아, 인도: 구호 인력 및 물자 지원

유엔: 긴급 기금 배정

아세안 국가들: 협력 구조망 가동




---

■ 복구 사업에 참여 가능한 분야



---

■ 미얀마는 누구랑 국경을 맞대고 있을까?

중국 (북동): 무역 및 정치적 영향력

인도 (북서): 국경 무장세력, 개발 연결 통로

태국 (남동): 노동력 및 난민 이동

방글라데시 (서쪽): 로힝야 사태

라오스 (동북): 메콩강 주변 교류

남쪽은 안다만해와 접해 있어 해상 물류 요지




---

■ 마무리

지진은 단순한 자연재해가 아닌 국가의 사회·경제를 뒤흔드는 중대한 사건입니다.
이번 미얀마 지진을 통해 재난 대응, 국제 연대, 그리고 복구를 기회로 삼는 ESG적 접근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느낄 수 있습니다.

이코노마스터가 전해드린 국제경제 소식, 다음에도 이어집니다.


#미얀마지진 #미얀마뉴스 #국제재난 #재난경제 #자연재해 #지진피해 #국제협력 #국제지원 #ESG투자 #복구비용 #아세안 #중국인도전략 #이코노마스터 #JW행복경제연구소 #생활경제 #경제블로그 #국제정세 #경제이슈 #재해복구 #해외뉴스

관련글 더보기